부절을 든 장건을 모델로 한 우표.장건은 기원 전 2세기 중국 한나라 때 여행가이자, 외교관이었다.탐험으로 실크로드의 개척에 중대한 공헌을 하였다.
[정기종 전 카타르 대사] 장건이 서역원정 후에 한무제에 올린 보고서의 요지는 다음과 같았다.
① 오랑캐들은 한나라의 재물을 탐내니 ② 후한 물건을 보내 주어 마음을 열게 하고 ③ 더욱 가까이 불러들여 살게 하며 ④ 한나라와 형제의 의를 맺게 하면 ⑤ 오손은 형편상 한나라를 따르게 될 것이고 ⑥ 이 결과로 흉노의 오른팔을 끊는 셈이 되며 ⑦ 오손이 한나라와 연합이 되면 ⑧ 서쪽의 대하 등을 모두 끌어들여 속국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내용이다. 파견목적의 핵심이 모두 포함된 보고서였다.
보고서에 기초해 한무제는 하서회랑을 따라 원정군을 파견했다. 장건이 사막 가운데 오아시스의 위치를 알고 있었기 때문에 한나라 군대는 식수 공급을 받으면서 계속 전진할 수 있었다.
그리고 뛰어난 종마를 얻기 위해 오손왕에게 왕실의 강도옹주를 시집보내고 종마 1천 필을 받아 천마로 이름 붙였다.
또한, 말의 수출을 거절한 대원은 3만 군사로 공격해 종마 3천 필을 획득했다. 그리 고 대원에서 얻은 한혈마가 더 뛰어나자 오손의 말 이름을 서극으로 바꾸고 대원의 말을 천마로 했다.
초기에 한나라는 이들 국가와 교역하면서 형제의 나라로 불렀지만 국력이 강해진 후에는 패권주의로 전환해 모두 무력으로 복속했다.
흉노는 기원후 89년 북흉노의 멸망과 216년 남흉노가 멸망하면서 남은 유민들이 위나라에 복속되거나 서쪽으로 이주해 중원에서 사라졌다.
이러한 역사에서 얻는 교훈은 첫째, 장건의 자질과 책임감이다. 장건은 성품이 좋아서 이민족들도 모두 그를 좋아했다고 한다. 그리고 포로생활 중에 흉노 여인과 결혼해 자식까지 낳았으나 한나라 사신임을 증명하는 부절(符節)을 간직하고 임무를 잊지 않았다.
둘째, 이민족 영역에서의 활동에는 흉노인 감보와 같은 현지인 조력자의 활용이 중요하다.
셋째, 사신의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장건의 성과를 활용한 한무제의 역량이다.
아무리 뛰어난 보고서를 작성해도 결정권자인 지도자의 관심과 의지가 없으면 휴지가 된다.
끝으로, 어느 나라나 강한 국방력이 필수적이라는 사실은 명백하다.
장건이 여행한 국가들의 땅과 자연을 다각도에서 분석한 것처럼 지리(地理)뿐 아니라 지리(地利)와 지형(地形)을 함께 보아야 하는 것은 외국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아프리카나 중동은 모두 덥기만 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우디아라비아에도 2000m 이상 고산지대가 있고 눈과 폭우가 내린다. 케냐의 킬리만자로나 레소토에도 한랭지역이 있어서 겨울옷이 필요하다. 따라서 아프리카나 중동에 난방용품과 담요를 파는 것은 철저한 사전조사에 의한 결과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