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서회랑(河西回廊)은 중국과 서역을 연결하는 폭이 수km에서100km그리고 길이 900km정도의 길로 실크로드의 현관과 같다.
[정기종 전 카타르 대사] 중국은 지리의 이점을 갖고 있다. 넓은 농토에서 나오는 생산력으로 규모의 경제를 키우면서 국력이 상승했다. 풍부한 식량으로 인구가 증가하면서 그만큼 재능 있는 인재들도 출현했다.
그리고 중원에 위치해 주변 민족들과의 접촉으로 국가의 발전요소를 흡수할 수 있었다.
왕소군은 전한(前漢) 시대 원제의 궁녀로 기원전 33년 화친을 위해 흉노왕 선우에게 보내졌다. 동방규는 '소군원삼수'(昭君怨三首) 시를 지으면서 호지무화초 춘래불사춘(胡地無花草 春來不似春)을 말해 왕소군을 당대 가장 유명한 여인으로 전해지게 했다.
실제로 왕소군은 힘든 환경에서도 흉노에 선진문물을 전하고 교사 역할을 한 모범적인 여성으로 알려졌다.
시 속에 나오는 말처럼 봄이 와도 봄 같지 않은 척박한 광야에 거주하는 흉노는 강인한 생존력을 가진 흉노마를 기간으로 우월한 기마 전투력을 보유했다.
그러나 이러한 세력균형은 이후 한나라가 더욱 강력한 기마군단을 육성하면서 한나라의 우세로 바뀐다.
사마천의 '사기'는 이러한 주변민족과의 관계를 '대원열전'과 '흉노열전' 그리고 '조선열전'에서 중국 입장에 유리하게 서술했다.
이것은 대부분 산지와 농경지로 이루어져 목초재배와 방목지가 부족하고 기마병을 육성하기 어려운 한반도 내의 환경보다 유리한 지리적 조건이었다.
대륙의 변방에 위치한 때문에 뛰어난 전투용 종마의 수입은 더욱 힘든 일이었을 것이다.
한무제는 서역에 장건을 대표로 100여 명의 사절단을 파견했고 외교와 무력을 병용해 우수한 전투용 종마들을 획득했다.
장건이 찾아낸 새로운 교통로를 통해 가져온 전략물자와 정보는 이 같은 국력 증강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서역 통로는 중원의 서북에서 동남방향으로 뻗친 하서회랑(河西回廊)이다. 폭이 수 km에서 100km 그리고 길이 900km 정도의 길로 실크로드의 현관과 같이 중국을 중앙아시아와 인도와 연결시켜 주었다.
장건은 한나라 조정의 하위직 낭관의 신분으로 파견사절에 응모해 기원전 138년 중앙아시아 월지로 출발했다. 여기에는 흉노족 노예 감보를 보좌관으로 대동했다.
이후 흉노에 잡혀 선우에게 10여 년 억류되었다가 탈출해 대원에 도착했고 그리고 강거에서 대월지로 갔다.
한나라로 돌아가는 도중에 다시 흉노에 잡혀 1년여 억류되었지만 흉노인 아내를 데리고 다시 탈출해 13년 만에 귀국했다.
장건은 귀국 후에 대원, 대월지, 대하, 강거 그리고 인접한 5, 6개국에 대한 자세한 보고서를 작성했다. 이 보고서는 한나라의 서역경략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