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MZ세대는 코로나19로 오히려 우리사회에 대한 자신감을 얻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그래픽=나눔경제뉴스]
[나눔경제뉴스=차석록기자] 한국의 밀레니얼과 Z세대는 코로나 19로 인한 위기를 겪으면서 우리 사회에 대한 긍정적인 자신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리 경제에 대해 낙관하는 전망은 1년새 2배가 증가했다. 그러나 코로나19를 대응하는 기업에 대해 신뢰도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밀레니엄세대는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 사이에 태어난 세대를, Z세대는 밀레니엄세대를 뒤잇는 19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중반까지 출생한 세대를 의미한다.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은 29일 “한국의 밀레니얼과 Z세대는 코로나 19로 인한 위기를 겪는 시기에도 경제, 사회·정치적 상황이 개선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늘면서 지난해 대비 우리 사회에 대한 긍정적인 자신감을 갖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는 한국 딜로이트그룹(총괄대표 홍종성)은이 딜로이트 글로벌의 ‘2020 딜로이트 글로벌 밀레니얼 서베이(The 2020 Deloitte Global Millennial Survey)’를 인용한 내용이다.
딜로이트 글로벌은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지난해 12월, 43개국 1만8400명의 밀레니얼(1983년 ~ 1994년 출생자)과 Z세대(1995년 ~ 2002년 출생자)를 대상으로 1차 조사를 실시했다.
코로나19가 확산 일로에 있던 올해 초 13개국 9,100명을 대상으로 2차 조사를 실시해 코로나 전후 이들의 생각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분석했다.
한국의 경우 1차 조사에는 501명(밀레니얼 301명, Z세대 200명), 2차 조사에는 500명(밀레니얼 300명, Z세대 200명), 총 1,001명의 밀레니얼과 Z세대가 조사에 참여했다.
▶향후 경제 낙관 전망..2배 증가
2019년 12월과 2020년 초에 실시한 1,2차 조사 결과 한국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는 경제, 사회·정치적 상황에 대해 글로벌 평균보다 더 낙관적으로 변했다.
우리나라 밀레니얼 중 향후 경제를 낙관적으로 전망한 사람은 지난해 실시했던 2019 밀레니얼 서베이 시 13%에서 올해 26%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오히려 증가했다.
사회·정치를 낙관적으로 전망한 비율은 13%에서 27%로 상승했다. Z세대에서 경제를 낙관적으로 전망한 비율은 지난해 14%에서 올해 25%로, 사회·정치를 낙관적으로 전망한 응답자 역시 12%에서 28%로 증가하면서 전체적인 ‘긍정’ 답변이 두 세대 모두 지난해 조사 대비 2배 가량 증가했다.
글로벌 밀레니얼과 Z세대는 코로나19 위기를 거치면서 다소 비관적으로 변한 가운데, 조사 대상국 가운데 호주와 한국이 유일하게 긍정적으로 돌아선 것이다.
<표>경제, 사회·정치적 상황을 긍정적으로 전망한 밀레니얼·Z세대 비율[표=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코로나19 정부대응 만족
특히, 한국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는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에 상당히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에 대한 정부 대응이 신속하게 이뤄졌는지에 대해서는 한국 밀레니얼의 69%가, Z세대의 66%가 ‘그렇다’고 대답해 50% 수준에 머문 글로벌 평균을 크게 앞질렀다.
또한 한국의 밀레니얼과 Z세대는 ‘근로자들을 위한 정부의 조치가 적절했다’고 답변한 비율 역시 글로벌 평균보다 높아, 전반적으로 정부 대응에 큰 만족감을 나타낸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정부의 대응이 미흡했다는 의견이 가장 많은 나라는 일본이다. 일본 밀레니얼과 Z세대 4명 중 3명은 정부 대응이 신속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3명 중 2명은 근로자들을 위한 조치도 미흡했다고 답했다.
한편, 조사기간 중 코로나19 위기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밀레니얼과 Z세대의 스트레스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스트레스를 꾸준히 받는다’는 밀레니얼과 Z세대는 한국과 글로벌 평균이 50~51%로 동일한 수준이었지만, 올해 ‘스트레스를 꾸준히 받는다’고 답한 글로벌 밀레니얼은 42%로 하락한 반면 한국의 밀레니얼은 28%에 그쳤다. 글로벌 Z세대는 44%로, 한국 Z세대는 27%로 하락했다.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답변한 밀레니얼과 Z세대 비율[표=딜로이트안진회계법인]
딜로이트 글로벌은 이들의 스트레스가 감소한 주된 이유로 재택근무, 환경개선, 삶의 여유를 꼽았다. 단, 밀레니얼과 Z세대의 스트레스는 단기적으로 해소될 것으로 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재정 문제로 스트레스가 증가할 수 있다고 딜로이트 글로벌은 지적했다.
▶일자리 및 커리어 전망 불안
특히 한국의 밀레니얼과 Z세대는 스트레스 주범으로 ‘미래 개인 재정 상황’과 ‘일자리 및 커리어 전망’을 꼽았다. 이 부분에서 한국의 밀레니얼과 Z세대 간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밀레니얼은 코로나19를 거치면서 ‘미래 개인 재정 상황’을 스트레스 주 요인이라고 꼽은 비율이 지난해 47%에서 올해 44%로 소폭 감소한 반면, Z세대는 지난해 35%에서 올해 48%로 크게 뛰었다.
직장인 비율이 높은 밀레니얼과는 달리 학생과 ‘취준생’이 많은 Z세대의 불안감을 보여주는 단면이라고 할 수 있다. 글로벌 또래들은 스트레스 주범으로 ‘미래 개인 재정 상황’과 ‘일자리 및 커리어 전망,’ ‘가족의 건강’을 거의 동일한 비율로 꼽았다.
한국 밀레니얼은 ‘개인 재정’ 면에서도 비관적으로 변한 글로벌 또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관적인 전망이 높았다. 코로나19를 거치면서 향후 12개월 동안 재정 상황이 개선될 것이라고 응답한 글로벌 밀레니얼은 9%P(39%→30%) 하락한 반면, 개선될 것이라고 응답한 한국 밀레니얼은 지난해 대비 2%포인트 늘었다(23%→25%).
▶기업에 대한 신뢰 추락
한편 한국의 밀레니얼과 Z세대는 코로나19를 겪으며 정부에 대한 신뢰도는 높아진 반면, 기업에 대한 인식은 1차 조사 대비 부정적으로 변했다.
코로나19 위기에 ‘기업이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응답이 한국 밀레니얼(45%→32%)과 Z세대(59%→44%) 사이에서 큰 폭으로 떨어졌다. 이는 글로벌 밀레니얼(51%→41%) 및 글로벌 Z세대(52%→43%)의 추세와 같은 양상이다.
특히 ‘직원들이 더 오래 남고 싶어하도록 기업이 적절한 조치를 취했다,’ ‘나와 동료들을 돕기 위한 기업의 대응 방식에 만족한다’ ‘기업이 이익 일부를 직원을 돕는데 썼다’ ‘팬데믹 기간 동안 직원을 돕기 위한 정책을 도입했다’ ‘기업이 직원의 정신건강을 챙겼다’ 는 항목에서 긍정 답변이 글로벌 평균보다 크게 낮아 한국의 밀레니얼과 Z세대는 글로벌 또래보다 직장 스트레스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딜로이트 글로벌은 “전 세계 밀레니얼과 Z세대의 50% 이상이 직장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퇴사의 원인으로 생각한다”며 “앞으로 기업들은 직원들의 스트레스 관리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 밀레니얼과 Z세대의 항목별 동의 정도[딜로이트안진회계법인]
코로나19로 인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밀레니얼과 Z세대는 직장 충성도에서도 변화가 생겼다. ‘2년 이내에 현 직장을 떠날 것’이라고 응답한 한국 밀레니얼은 지난해 52%에서 올해 38%로 크게 떨어졌다. 조사에서 기업에 대한 불만이 커졌다고 나타났지만,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직업 안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한국 밀레니얼 중 ‘5년 후에도 현 직장에 남을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 역시 지난해 대비 10%포인트(32%→22%) 하락했다는 점은 이러한 불확실한 시대에 장기적 관점에서 조직에 충성도를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한 회의감이 커졌음을 방증한다.
▶2년이내 현직장 떠나..구성원 품는 조직문화
한국 Z세대는 ‘2년 이내에 현 직장을 떠날 것’이라는 질문에 58%가, 그리고 ‘5년 후에도 남을 것’이라는 질문에는 13%가 ‘그렇다’고 답했다.
송한상 딜로이트 컨설팅 코리아 상무는 “한국의 밀레니얼과 Z세대는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정부와 국가 인프라·시스템에서 희망을 봤지만 기업들의 대응은 아직 미진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이런 희망과 우려가 공존하는 상황에서, 우리 사회와 기업들은 불확실한 미래를 대비하고 불안을 느끼는 구성원을 품을 수 있는 조직으로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상무는 또 “우리 젊은이들도 미래에 대한 희망과 자신감을 바탕으로 커리어를 개발하고 창업 등의 도전을 통해 역동적인 경제 생태계를 만드는데 일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나눔경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