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선야학 멘토로 참여하고 있는 연세대학교 박하정 학생이 KT AI코딩블록으로 청소년 멘티들에게 AI 코딩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KT]
[나눔경제뉴스=정영선기자] KT가 서울시교육청과 함께 청소년들의 디지털 학습 역량 격차 해소에 나선다.
KT는 서울시교육청과 함께 6월부터 랜선야학 프로그램에 기존의 교과목 외 AI(인공지능) 코딩 수업을 추가로 신설한다고 6일 밝혔다.
랜선야학은 KT와 서울시교육청이 청소년들의 기초학력 격차를 줄이기 위해 공동으로 시작한 비대면 학습 멘토링 프로그램이다.
KT는 여러 여건으로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고등학생들과 경제적 활동 의지가 있는 대학생들을 연결해 KT의 교육 플랫폼인 '랜선에듀'를 통한 멘토링을 진행해왔다.
2020년 10월 첫 시행 이후 랜선야학은 경기도와 강원도, 충남, 전북, 전남, 광주, 부산 등 10개 교육청으로 확산됐다. 지금까지 전국에서 1700여명의 학생들이 랜선야학을 통해 멘토와 멘티의 인연을 맺고 3만3000여 시간의 멘토링을 이어왔다.
KT는 우선 서울시교육청과 협력해 시범적으로 랜선야학을 통한 AI 코딩 수업을 시행한 후 그 성과와 수요를 기반으로 전국 단위로 확대할 계획이다.
랜선야학의 AI 코딩 수업에는 입문자가 비대면 환경에서도 AI 코딩의 원리를 쉽고 재미있게 익힐 수 있도록 개발된 AI 코딩교육 플랫폼 'KT AI 코딩블록'을 활용한다.
대학생 멘토에게는 AI 코딩 교육 연수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AI 교육을 위한 VOD 자료와 수업 지도안을 비롯한 AI 코딩블록의 실습 프로그램 등이 제공된다.
이밖에도 KT는 랜선야학의 프로그램 질을 높이기 위해 영국문화원이 개발한 세계 최초 모바일 기반 공인 영어시험 '잉글리시스코어'의 응시 기회와 함께 공인 성적표 무료 발급혜택과 온라인 대시보드를 통한 영어성적 관리기능도 제공한다.
한편 KT는 6월부터 제주교육청과도 협력해 제주대학교 사범대학에서 교직을 이수한 대학생들이 랜선야학 멘토로 나서 지역 청소년의 교육 격차 해소에 기여할 수 있도록 시범 사업을 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