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는 자사 고객의 소비데이터를 분석, 코로나19 환경 및 디지털경제 가속화에 따른 관련 소비 변화를 연령과 지역 등에 따라 입체적으로 분석했다.[사진=신한카드]
[나눔경제뉴스=최유나기자] "코로나가 40대를 엄지족으로 만들었다."
코로나 시대를 거치며 온라인업종 전체와 배송 · 디지털 컨텐츠 · 간편결제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4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이용 증가가 두드러졌다.
신한카드(사장 임영진) 빅데이터연구소는 자사 고객의 소비데이터를 분석, 코로나19 환경 및 디지털경제 가속화에 따른 관련 소비 변화를 연령과 지역 등에 따라 입체적으로 분석해 21일 제시했다.
온라인 업종 전체의 연도별 이용 추이를 살펴보면 2019년부터 2021년까지의 전년대비 이용 증가율은 각각 14%, 23%, 22%로 나타나 꾸준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온라인 업종 전체의 연도별 이용 추이를 살펴보면 2019년부터 2021년까지의 전년대비 이용 증가율은 각각 14%, 23%, 22%로 나타났다.[그래픽=신한카드]
온라인 업종의 2019년대비 2021년 연령별 이용 증가율의 경우 20대는 45%, 30대 63%, 40대 84%, 50대 110%, 60대이상 142%로 전체 71% 대비해 디지털 소외 계층으로 인식되던 40대 이상의 연령층의 이용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배달 및 신선식품 배송 서비스도 4050세대의 이용 비중이크게 늘어났다. [그래픽=신한카드]
동 기간 동안의 지역별 이용 증가율의 경우 서울 76%, 경기 78%, 광역시 65%, 그 외 지역 61%로 수도권의 이용 증가율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배달 및 신선식품 배송 서비스도 동기간 동안 4050세대의 이용 비중이 눈에 띄게 늘어났다.
OTT와 음원 스트리밍 이용 비중의 경우 20대는 줄어든 반면, 30대부터 50대 이상은 증가했다. [그래픽=신한카드]
배달앱의 경우 20대 이용 비중은 41% → 30%, 30대는 39% → 37%로 줄어든 반면, 40대는 15% → 24%, 50대이상은 5% → 9%로 증가했다.
신선식품몰 이용 비중 역시 20대의 경우 11% → 10%, 30대는 40% → 32%로 줄어든 반면, 40대는 35% → 37%, 50대 이상은 14% → 21%로 증가했다.
코로나로 외식이 어려워짐에 따라 재택 등 집에서 식사를 하는 경우가 많아져 중장년층의 이용이 늘어난 걸로 연구소측은 내다봤다.
이커머스 · 모바일 쇼핑과 밀접한 간편결제의 경우도 중장년층의 비중이 늘어났다. [그래픽=신한카드]
한편, 동기간 동안 배달앱의 지역별 이용 비중의 경우 큰 도시 중심으로 신규 서비스를 런칭하는 경향이 있는 배달앱의 특성상 수도권 비중이 53% → 55%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식품몰의 지역별 이용 비중의 경우 비수도권 이용 비중이 20% → 22%로 증가, 서비스 대상 지역이 넓어지고 있는 현상이 반영됐다.
OTT 및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와 같은 디지털 컨텐츠의 경우 과거 20대의 이용이 월등했던 것과 달리, 타 세대의 이용이 증가해 점차 범용 서비스화 되고 있다.
OTT와 음원 스트리밍 이용 비중의 경우 20대는 각각 44% → 34%, 44% → 37%로 줄어든 반면, 30대는 29% → 31%, 29% → 29%, 40대는 18% → 22%, 20% → 22%, 50대 이상은 9% → 13%, 7% → 11%로 증가했다.
지역별 이용의 경우 비수도권에서 OTT 이용 비중이 38% → 41%, 음원 스트리밍 이용 비중은 41% → 42%로 증가,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나 거리의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비수도권의 이용이 증가한 걸로 연구소측은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이커머스 · 모바일 쇼핑과 밀접한 간편결제의 경우도 중장년층의 비중이 늘어났다.
이용 비중 변화를 살펴보면 20대는 34% → 29%, 30대는 35% → 34%로 감소한 반면, 40대는 22% → 24%, 50대이상은 9% → 13%로 증가, 디지털 기기에 대한 친숙도 증가로 간편결제의 편의성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간편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중 일부는 빠른 배송 등의 핵심 서비스를 수도권 중심으로 제공하거나 오프라인 현장결제를 수도권에 밀집된 대형 프렌차이즈에서만 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수도권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 비중이 57% → 59%로 다소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