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8월 27일 서울시립대학교 100주년기념관에서 서울특별시, 서울시립대학교와 함께 ‘2025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 해커톤’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사진=KT]


[나눔경제뉴스=차민수 기자] KT(대표이사 김영섭)는 27일 서울시립대 100주년기념관에서 서울특별시, 서울시립대학교와 함께 ‘2025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 해커톤’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올해 처음 열린 이번 해커톤의 주제는 ‘생활이동 데이터로 살기 좋은 수도권을 디자인하라’였다.

대회는 생활이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도권의 다양한 도시 문제 해결책을 발굴하고, AI 실무 역량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총 88개 팀이 참가했다. 본선에는 학생부와 일반부 각 8팀이 올라 치열한 경합을 펼쳤다.

KT가 제공한 생활이동 데이터는 국내 최초로 수도권 전체를 250m 격자와 20분 단위로 집계한 정밀 데이터다.

이 데이터는 출근·등교·쇼핑·관광 등 7가지 이동 목적과 지하철·버스·차량·항공 등 8가지 이동 수단, 성별·연령대별 세분화 분석이 가능하다.

기존 교통카드 데이터가 일부 구간 정보에 그쳤다면, 생활이동 데이터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포함한 전 구간 이동 분석이 가능해 교통 사각지대 해소, 직행버스 신설, 환승센터 입지 선정 등 도시정책 수립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데이터는 교통 분야를 넘어 주거·의료·상권 분석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년층 출퇴근과 생활 SOC 접근성을 반영한 공공임대주택 입지 선정, 병원 방문 데이터를 통한 의료취약지 진단 및 지역 맞춤형 보건정책 수립, 관광객 이동 경로 분석, 지역별 상권 활성화 전략 마련까지 도시정책 전반에 기여 가능성이 크다

이번 대회 결과 총 6개 팀이 수상작으로 선정됐으며, 일반부 최우수상은 ‘소상인싸’ 팀의 「생활이동 데이터 및 정형/비정형 데이터 기반 소상공인 심층 상권분석 LLM 챗봇」이 수상했다.

이 서비스는 소상공인의 창업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혁신적 아이디어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학생부 최우수상은 ‘민심쏭쏭’ 팀의 '청년 행복지수 기반 임대주택 최적 입지 제안'이 차지했다. 청년 주거 안정과 맞춤형 정책 솔루션을 제시한 점이 주목받았다.

이밖에도 ▲연령대별 서울시 보행일상권 계획 점검(동행지도) ▲수도권 생활이동 기반 생활 SOC 수요·공급 진단(컴플렉시티) ▲고령자 이동불편구역 분석(MOVE:ON) ▲노년층 맞춤형 교통서비스 제안(모빌로(老)티) 등이 우수작으로 꼽혔다.

KT는 총 1천만 원 규모의 상금을 지원했다. 일부 우수 아이디어는 실제 정책 반영과 사업화까지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최우수상을 수상한 이원태씨는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처럼 방대한 자료를 250m 격자 단위로 생활과 직접 연결해 분석할 수 있어 의미 있었다”며, “앞으로도 도시문제 해결에 필요한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개발·활용되기를 바란다”며 기대감을 전했다.

KT 서비스Product본부장 김영걸 상무는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는 교통, 주거, 의료 등 시민의 삶과 직결된 문제 해결의 핵심 자산”이라며,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 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를 확장하고, 시민 삶의 질 향상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